엑셀에서 셀 가장 앞부분에 숫자 0이 들어가는 경우 숫자 0은 자동 생략됩니다.
엑셀은 스프레드시트 형식의 데이터베이스이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 특성상 정수에서 0이 숫자 앞에 위치하는 경우 정확성에 위배되기 때문으로 풀이됩니다.
반대로, 셀 설정이 기본값이 아닌 특정설정이 이미 되어있는 상태이고 엑셀의 기본설정처럼 0이 안보이게 하고 싶은데 보여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주로, 업무차원에서 엑셀파일을 주고 받을 때 이러한 상황이 발생합니다.
간단한 설정을 통해 두 개의 상황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방법은 엑셀의 함수같은 다소 복잡한 방법을 쓰지 않고도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1.엑셀 기본 설정으로 숫자 0 표기하는 방법
▲ 가장 간단하면서 권장드리고 싶은 방법입니다. 참고로, 해당 포스팅은 엑셀365 버전에서 작성되었으나 다른 버전의 엑셀도 같은 설정방법으로 가능합니다.
먼저 엑셀 상단의 “파일” 탭을 클릭하여 엑셀 설정화면으로 이동한 뒤 가장 하단에 있는 “옵션”을 클릭합니다.
▲ 좌측의 고급 탭으로 이동한 뒤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다보면 “0 값이 있는 셀에 0 표시” 옵션이 있습니다. 해당 옵션을 체크하여주세요
옵션의 내용은 숫자 0 외 다른 데이터가 없는 셀에도 0을 표기해주는 옵션입니다.
만약, 해당 옵션이 체크되어 있지 않다면 숫자 0만 입력되었을 경우 NULL값 (빈값)으로 치환하여 자동입력시킵니다.
하지만 보여지는 셀에서만 그렇게 표시할 뿐 실제 값이 삭제되는 것은 아니며, 이 옵션은 010과 같은 데이터가 10으로 치환되는 문제를 해결해주지는 못합니다.
2. 010과 같은 숫자를 10이 아닌 010으로 온전히 표기하는 방법
▲ 010은 핸드폰 번호의 앞자리이기도 해서 엑셀로 자료정리시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숫자입니다.
하지만 엑셀에서는 010을 10으로 인식합니다. 문자상으로 010은 문제 없는 문자이지만, 숫자로 봤을 때 010은 정합성규칙에 어긋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숫자규칙을 문자규칙으로 변경해줄 것입니다.
엑셀에서 이러한 규칙을 별도로 명시해주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설정합니다.
010은 숫자이기 때문에 최초 입력시 자동 숫자로 인식하는 것입니다.
010을 입력하고자 하는 셀을 선택한 뒤 마우스 우클릭 하여 셀 서식을 실행시킵니다.
그리고 일반/숫자로 설정되어 있는 범주를 “텍스트”로 변환하여 저장합니다.
▲ 이제 010이 정상입력되는 모습입니다.
이렇게 셀을 텍스트형태로 지정하여 010을 입력하면 셀 좌측상단에 녹색 화살표 안내아이콘이 나타납니다.
텍스트형식으로 지정된 숫자라는 안내문구 입니다.
이렇게 숫자가 텍스트형태로 입력될 경우 숫자형태의 산식처리가 불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010으로 입력된 셀과 020으로 입력된 셀을 더하거나 빼고 싶다면, 이를 숫자형태로 다시 치환해야 합니다. (10, 20으로 각각 치환된 후 계산됨)
즉, 모든 숫자입력을 구태여 텍스트형식으로 변경할 필요는 없습니다.
때에 따라선 이렇게 작업하는 것이 편하기도 하지만, 데이터 확장성을 고려했을 때 각 데이터에 맞는 형태로 지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장 알맞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